동양에서는 매해 특정한 띠와 간지가 결합해 그 해의 특성을 점치곤 하죠. 이는 ‘육십갑자’ 체계와 연관이 깊습니다. 육십갑자는 동아시아 전통에서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해서 만든 60년 주기의 연도 표시 체계를 말하는데요. 하늘의 기운을 나타낸다는 10개의 천간(天干)과 땅의 기운을 나타낸다는 12개의 지지(地支)가 천간의 순서대로 12지신과 한 번씩 짝을 맺어 나가는 방식으로 총 60번의 간지가 채워집니다.

갑진년인 올해는 ‘청룡의 해’였습니다. 푸른색을 상징하는 ‘청’과 상상의 동물인 ‘용’이 결합된 한 해였죠. 다가오는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이 될 전망입니다. 을사는 60간지 중 42번째에 해당하는 순서로, ‘을’은 색상 중 ‘청색’을 의미하고요. ‘사’는 동물 가운데 ‘뱀’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풀어서 해석하면 ‘푸른 뱀의 해’를 뜻하게 됩니다.

해설 더 보기: www.welfarehell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