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에게 인정받아 대사농(大司農: 재정을 담당하는 관리)까지 지낸 왕사(王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노년에는 성질 고약한 고집불통으로 변해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는 탓에 ‘가혹한 관리(苛吏)’로 불렸다. 성미가 급해서 글을 쓰는 데 파리(蠅)가 붓끝에 앉자 두세 번 쫓은 뒤 또 날아오니 화를 내며 일어나 쫓아냈고, 그래도 다시 오자 붓을 땅에 던지고 밟아 망가뜨렸다.

이 고사는 조선에도 전해졌다. 세종의 명으로 만들어진 <운부군옥>을 비롯해 19세기 <송남잡지> <이담속찬> 등의 사전류와 속담집에도 나온다. 다만 왕사의 고사를 밝히되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모기를 쫓아내느라 칼을 뽑아 든다’는 견문발검(見蚊拔劍)으로 바뀌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거나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대응하는 것, 작은 일을 하는 데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쓰는 것 등을 비유한다. 노승발검(怒蠅拔劍)으로도 쓴다.

해설 더 보기: sgs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