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경기도의 도청 소재지는?
일제강점기가 끝난 이후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 역시 일제강점기의 경기도청사를 그대로 사용했다. 그러나 6.25 전쟁이 터지면서 도청은 수원으로 임시 이전했고, 그 사이 서울이 황폐화되어 도청 건물이 반쯤 무너지기도 했다. 1953년 휴전 뒤 복귀하긴 했으나, 엉뚱하게도 서울은 경기도가 아닌데 도청이 외로이 시내 한복판에 있어 문제가 되었다. 이미 1946년 서울이 경기도에서 분리된 이래 도청 복원 논의가 이미 진행되어 1953년 4월 15일 인천에서 먼저 '경기도청 유치위원회'가 발족되자 1주일 뒤 수원에서도 '경기도청 수원 존치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존치란 표현을 쓰는 이유는, 조선시대에 수원에 경기도 감영이 있었고 6.25 전쟁 당시에도 임시도청이 설치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1962년에 수원의 지역 유지 김구배는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게 도청을 수원으로 이전하자는 건의서를 제출했는데, 1963년에 박창원 경기도지사는 청사를 시흥군 안양읍에 이전하자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병희 수원유치위원장이 도의 발전과 미래를 생각하며 삭발까지 감행해 박정희 의장에게 찾아가 무릎을 꿇고 도청 이전을 관철토록 했고, 그 결과 1963년 법률 제1538호에 따라 수원으로 신청사 부지가 결정되어 이듬해부터 공사에 들어가 1967년부터 완공 후 서울 시대를 마감했다. 반면 구 서울 도청사는 1967년 이후 내무부의 치안국이 청사로 쓰며 오랫동안 치안본부 청사로 쓰였으나, 1986년에 치안본부가 서대문 신청사로 이전하면서 서울특별시 경찰국이 별관으로 쓰다가 건물의 노후화와 기존 정부서울청사 주차장 협소를 이유로 1990년 4월에 철거되었다.
해설 더 보기:
namu.wiki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