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민속놀이.

보통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즐긴다. 현대에 와선 줄다리기와 함께 민속놀이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며, 다른 민속놀이와 달리 현대 보드게임과 유사한 요소가 많아 여러명이 편을 짜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며 화합을 도모하기 좋고, 플레이타임이 적당한 등 요소의 장점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는 놀이이기도 하다.

한국 한자어로는 척사(擲柶), 척사희(擲柶戲, 擲柶戱), 사희(柶戲, 柶戱) 등으로 표현하는데 擲(던질 척)은 투척물 같은 단어에 쓰이는 말 그대로 '던진다'는 의미이고 柶(수저 사)는 수저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윷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참고로 柶에 '윷'이라는 의미를 부여해서 쓰는 용법은 한국에서만 쓰이는 용법(국의자)이다. 영어 스펠링은 Yut Nori.

해설 더 보기: nam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