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스승의 날인 5월 15일은 누구의 생일에서 유래했을까?
대한민국의 기념일 중 하나로 스승의 은혜에 보답을 하는 날. 매년 양력 5월 15일로 이 날은 '겨레의 스승'으로 꼽히는 세종대왕의 탄신에서 따왔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여 전국 온 백성에 가르침을 주어 존경받는 것처럼 스승이 세종대왕처럼 존경받는 시대가 왔으면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음력(명나라 대통력) 1397년 4월 10일은 양력 율리우스력으로 1397년 5월 7일 월요일이고,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한 날짜가 1397년 5월 15일 월요일이라서 그 날이 스승의 날로 지정된 것이다.
다만 대한민국에서 스승의 날이 처음부터 5월 15일이었던 건 아니었고, 원래는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강경여자고등학교(現 강경고등학교)에서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세계 적십자의 날(적십자 창립자 앙리 뒤낭의 생일에서 유래)인 5월 8일을 맞아 자신의 스승을 찾아간 것이 시초였다. 이것이 날짜상 어버이날과 겹치기에, 일주일 후이자 대한민국의 스승이라 할 수 있는 세종대왕 탄신일로 미뤄 오늘날까지 기념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교육 정책을 총괄하는 교육부가 스승의 날 행사를 주관하고 있으며 매년 모범 교사들에 대한 표창장 수여 등을 하고 있다.
해설 더 보기:
namu.wiki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