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사진에 보이는 것은 무슨 새일까요?
올빼미목의 맹금류 새. 소쩍새라는 이름은 특유의 울음소리에서 유래했다.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 산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천연 기념물로 등재된 종으로 우리가 고전 문학에서도 접했던 그 소쩍새 맞다.
몸길이 18.5~21.5 cm다. 몸의 빛깔은 잿빛이 도는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이다. 잿빛형의 암수는 이마와 정수리·목에 갈색 무늬가 있고 얼굴·가슴·배에는 짙은 갈색 무늬, 등·어깨·허리에는 잿빛 갈색 무늬, 뒷머리와 뒷목에는 붉은 갈색 무늬가 있다. 날개깃의 끝은 붉은 갈색이다. 붉은 갈색형의 암수는 붉은 갈색 바탕에 머리와 등에는 검은 세로무늬가 있고 꽁지깃에는 가로무늬, 날개깃에는 연한 갈색 무늬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털갈이는 8~10월에 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솟쩍'하고 울면 솥에 금이 쩍 갈 정도로 다음해에 흉년이 들고, '솟적다'라고 울면 '솥이 작으니 큰 솥을 준비하라'는 뜻에서 다음해에 풍년이 온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잡가 중 하나인 유산가의 마지막 부분에도 적다정조는 일년풍이요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소쩍새가 울면 (솥이 적다고) 풍년이 든다는 뜻이다.
한국의 중부 이북에서는 여름새이며 일부 무리는 나그네새이다. 산지 또는 평지 숲에 살면서 나무구멍에 알을 낳는데, 5월 초순에서 6월 중순에 한 배에 알 4~5개를 낳아 암컷이 품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24~25일이고 새끼를 먹여 키우는 기간은 21일이다. 낮에는 숲 속 나뭇가지에서 잠을 자고 저녁부터 활동한다. 먹이는 주로 메뚜기, 풀무치, 나방의 유충과 성충 등이 있다. 한국·사할린섬·우수리·아무르·중국(북동부) 등지에 분포하며 중국 남동부와 인도차이나 북부까지 내려가 겨울을 난다. 그러나 소쩍새의 가장 큰 천적으로는 인간이 있다.
해설 더 보기:
namu.wiki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