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챙이국수의 재료는 무엇인가요?
말린 옥수수로 만든 국수. 그러나 만드는 방법 때문에 묵 요리로도 분류된다. 실제로 강원도에서는 올챙이묵이라고도 불린다. 재료의 이름을 따 옥수수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올챙이국수라는 이름은 면발이 다른 국수처럼 길지 않고 올챙이처럼 짧고 뭉툭하여 붙은 것이다. 당연하겠지만 올챙이가 들어가지 않는다.
올챙이 국수가 올챙이 모양이 나는 이유는 '옥수수묵을 내리는 틀'에 통과가 되면서 굳어져 올챙이의 형상처럼 만들어 지기 때문에 그렇다.
면이 쉽게 부서지는 특성상 젓가락으로 먹기 힘들다. 보통은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도 영월군, 홍천군, 정선군, 횡성군이나 평창군,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남도 금산군, 전라북도 무주군과 같이 산간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특히 영서 지방은 깊은 산이 많아 주식으로 감자, 옥수수, 보리, 밀 등 밭농사를 통한 작물을 많이 생산해 왔으며, 현재도 올챙이국수 말고도 감자와 옥수수를 이용한 지역 특산물이 많다.
해설 더 보기:
namu.wiki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