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조삼모사에 나오는 동물은?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라는 뜻으로,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고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아는 어리석음을 가리키는 고사성어이다. 《열자》 황제편, 《장자》 제물론편에 나온다.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길렀다. 그런데 원숭이를 너무 많이 기르는 통에 먹이가 부족해졌다. 어쩌면 원숭이를 시장에 내다 팔거나 다른 사람에게 줘야 할지도 모르는 처지에까지 이르렀다. 그렇지만, 정들여서 키운 원숭이들인데 시장에 내다 팔 수도, 다른 사람에게 줄 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저공은 고민고민한 끝에 원숭이들에게 줄 먹이량을 줄여 도토리를 아침엔 3개, 저녁에 4개 준다고 했다. 원숭이들이 마구 반발하며 화를 내자, 저공은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면 어떻겠냐고 말했더니 원숭이들이 납득했다는 이야기.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나,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나, 먹이의 개수는 똑같지만, 그걸 모르고 당장 눈앞에 닥친 현실에만 급급하는 어리석은 상황을 묘사할 때 흔히 쓴다.
해설 더 보기:
namu.wiki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