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진달래꽃'을 쓴 민족 시인은 누구일까요?
진달래꽃은 민족 시인 김소월(金素月:1902∼1934)이 쓴 시이다. 1925년에 간행된 김소월의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되어 있다. 이별의 슬픔을 인종(忍從)으로 극복하여, 전통적인 정한(情恨)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김소월 시의 정수(精髓)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와 리듬을 잘 나타내고 있다. 수미상관의 4연 12행으로 이루어졌고 7·5조의 음수율과 3음보 민요조의 전통적 리듬을 지니고 있다. 즉,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구화체(口話體)를 활용한 대중적 리듬, 그리고 이별·그리움·체념 등으로 대표되는 민중적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제1연에서는 체념을 통한 이별의 정한을 나타낸다. 제2연에서는 임을 위한 축복을 말한다. 제3연에서는 희생적인 사랑을 표현한다. 제4연에서는 이별의 정한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해설 더 보기:
terms.naver.com
광고